이론공부 2

피그마로 시작하는 UI 디자인

이 책은 피그마를 통해 와이어 프레임을 짜는 도중 도움이 될만한 내용이 많을 것 같아 읽게 되었는데 도움되는 TIP들이 많아 해당 TIP들에 대해 한번 정리해보고려 한다. ● Move vs Scale TIP) 해당 툴바에서 move는 한가지 요소만을 선택하지만 scale을 선택하면 드래그한 구성요소의 전체크기를 한꺼번에 조절할 수 있다. 아래에서 현재 작업중인 프로젝트로 예시를 들어보겠다. 예시처럼 scale을 사용하면 비율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스케일 툴을 사용하여 크기를 변경하게 되면 크기가 소수점 단위로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으니 조심해야한다. ● 프레임 (Frame)TIP) 프레임 프리셋을 이용하여 디자인을 진행할 디바이스 크기를 쉽게 세팅할 수 있음 (단축키는 F임) ..

앱 디자인의 설계 과정 및 안드로이드와 ios의 디자인 구조의 차이점에 대해

이 책은 이번 관광공사x카카오 공공api활용 공모전에 나가게 되며 읽게되었는데, 앱디자인의 설계과정과 안드로이드와 ios의 차이점 대해 간단히 정리해놓으면 좋을 것같아 한번 정리 해보고자한다. 앱 디자인의 설계 과정 - 자체개발1. 아이디어 : 어떤 제품을 만들어낼지 구상 및 목표설정 2. 분석 : 시장조사와 수요조사, SWAT등의 아이템 분석 3. 와이어 프레임 : 앱의 기본 구조와 레이아웃을 설계 (페이지 구성, 네비게이션 흐름, 주요 요소들의 위치 등을 정의) 4. 프로토타입 : 피그마 등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디자인 구성 5. 개발 및 디자인 수정 : 개발 착수 및 디자인 수정을 반복 (+유저 시나리오 (시놉시스 작성) : 대표적인 사용자 유형(페르소나)을 정의하고, 각 페르소나가 앱을 어떻게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