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론공부/관련서적 7

List, Linked List (이것이 자료구조 + 알고리즘이다)

● 리스트( List)란? - 목록 형태로 이루어진 데이터 형태로, 목록의 개별요소들을 노드(Node)라고 한다.    ● 리스트(List) 구조 - 리스트는 각각의 노드들로 구성되어 있음- 리스트의 첫번째 노드를 헤드(Head)라고 하고, 리스트의 마지막 노드를 테일(Tail)이라고 한다.- 노드의 개수가 곧 리스트의 길이임     ● 왜 배열 대신 리스트를 사용하는가?- 배열은 생성시에 반드시 크기를 지정해줘야 하며, 생성한 이후에는 그 크기를 수정할 수 없지만, 소프트웨어가 지정된 크기보다 많은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그렇기에 배열의 크기를 너무 작게 설정하자니 제대로 동작하지 않고, 무작정 크게 선언하자니 낭비되는 메모리가 너무 많아 메모리가 부족하게 된다. 이러한 배열의 단..

운영체제 (Operating System)

이번 글에서는 이번학기에 듣게 되는 '운영체제 '과목에 대해 기본 CS지식인만큼 머리에 진하게 새겨두고 싶어 관련 건대 도서관에서 관련 서적을 찾다 해당 책을 찾게 되어 해당 책을 읽으며 정리해두면 좋을 것 같은 내용들을 정리 해보고자 한다. ● 운영체제의 정의 -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Application)을 실행시켜주기 위해, 컴퓨터 하드웨어를 관리해주는 시스템 소프트웨어(SS: System Software)들 중 하나이다. -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를 작동시키고 효율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을 하는데, 운영체제도 이들 중 하나인 것이다. (저자는 소프트웨어와 운영체제를 구별하지않고 동일하게 보는사람도 많다고 한다.)..

안드로이드 네트워크 통신에 대하여

이번에는 현재 진행 중인 공모전에서 React Native언어에서 axios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서버와 통신 중이었는데 JSON 파일만을 통신할 때는 문제없이 통신되었지만 이미지를 file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코드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막히게 되어 관련 서적을 찾아보다, 직접적으로 도움받을 수 있는 axios관련 서적은 현재까지 찾지 못하여 안드로이드 네트워크와 관련된 서적을 건대 도서관에서 찾게 되었고, 해당 책을 접하게 되어 책에 나와있는 안드로이드 네트워크와 관련된 내용들을 블로그에 정리해 둔다면 이후 axios관련 정보글들을 접할 때 유용할 것 같아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그럼 본격적으로 안드로이드 네트워크 통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먼저 안드로이드 앱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에는 ..

Git 소스트리 (GUI) 사용법 - 자세한 기초 사용법 가이드

이번 글에서는 현업 네이버 개발자분이 사용하고 계셨던 Git 사용방법인 Git source tree 사용법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Git source tree 다운로드먼저 Git source tree를 사용하기 위해 아래 링크를 통해 source tree를 다운받아보도록 하겠다. https://www.sourcetreeapp.com/ Sourcetree | Free Git GUI for Mac and WindowsA Git GUI that offers a visual representation of your repositories. Sourcetree is a free Git client for Windows and Mac.www.sourcetreeapp.com 해당 링크로 들어가서  파란 버튼을 눌..

Git이란 무엇일까?

이번 글에서는 교내활동에서 짧게 멘토링해주셨던 현업 네이버 개발자분의 깃과 깃헙 사용법이 나와는 달리 훨씬 효울적이었던 것에 충격을 받아 깃을 능숙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싶어져 Git 사용법과 관련된 서적들을 읽고 이를 블로그에 정리 해보고자 한다. Git이란 무엇일까? -Git이란 간단히 말해 프로젝트나 파일들의 버전관리를 도와주는 소프트웨어이다. (여기서 버전이란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거나 크고작은 버그가 수정되는 등 기존과는 다른 유의미한 변과가 결과물로 저장된 것을 의미한다.) Git이 왜 필요할까? 1. 변경 내역을 확인하기 수월해짐 : Git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새롭게 파일들을 저장할 때마다 다른 사람들이 해당 파일이 이전파일과 어떤 것이 바뀌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힘들어 지지만, Git을 활용..

피그마로 시작하는 UI 디자인

이 책은 피그마를 통해 와이어 프레임을 짜는 도중 도움이 될만한 내용이 많을 것 같아 읽게 되었는데 도움되는 TIP들이 많아 해당 TIP들에 대해 한번 정리해보고려 한다. ● Move vs Scale TIP) 해당 툴바에서 move는 한가지 요소만을 선택하지만 scale을 선택하면 드래그한 구성요소의 전체크기를 한꺼번에 조절할 수 있다. 아래에서 현재 작업중인 프로젝트로 예시를 들어보겠다. 예시처럼 scale을 사용하면 비율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스케일 툴을 사용하여 크기를 변경하게 되면 크기가 소수점 단위로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으니 조심해야한다. ● 프레임 (Frame)TIP) 프레임 프리셋을 이용하여 디자인을 진행할 디바이스 크기를 쉽게 세팅할 수 있음 (단축키는 F임) ..

앱 디자인의 설계 과정 및 안드로이드와 ios의 디자인 구조의 차이점에 대해

이 책은 이번 관광공사x카카오 공공api활용 공모전에 나가게 되며 읽게되었는데, 앱디자인의 설계과정과 안드로이드와 ios의 차이점 대해 간단히 정리해놓으면 좋을 것같아 한번 정리 해보고자한다. 앱 디자인의 설계 과정 - 자체개발1. 아이디어 : 어떤 제품을 만들어낼지 구상 및 목표설정 2. 분석 : 시장조사와 수요조사, SWAT등의 아이템 분석 3. 와이어 프레임 : 앱의 기본 구조와 레이아웃을 설계 (페이지 구성, 네비게이션 흐름, 주요 요소들의 위치 등을 정의) 4. 프로토타입 : 피그마 등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디자인 구성 5. 개발 및 디자인 수정 : 개발 착수 및 디자인 수정을 반복 (+유저 시나리오 (시놉시스 작성) : 대표적인 사용자 유형(페르소나)을 정의하고, 각 페르소나가 앱을 어떻게 사용..

반응형